서비스 기획자/PM 지은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QA 하는 방법[엑셀 양식 무료 공유] 본문

서비스 기획 이야기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QA 하는 방법[엑셀 양식 무료 공유]

서비스 기획자/PM 지은 2024. 6. 12. 14:58

IT업계에 종사하는 분이시라면 QA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아직 대학생 프로젝트, 사이드 프로젝트의 서비스 런칭 단계에서는 흔한 개념은 아닌 것 같습니다.  

 

QA는 말 그대로 ‘Quality Assurance’의 약자로 ‘품질 보증’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품질 보증은 개념적인 용어이고, 많이 통용되는 의미는 '출시/론칭 전 테스트'입니다. 

 

QA테스트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기능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었는가?’입니다.

IT 회사에는 QA 전담팀이 따로 있는 경우가 있지만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는 없기 때문에...!

기획자/PM을 맡은 멤버가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 같습니다.

 

'기능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그냥 우리가 눌러보면 되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저도 QA 테스트를 도입해 보기 전까지 이렇게 생각했던 사람으로서 매우 매우 잘못된 생각이라고 해주고 싶습니다.

QA 테스트를 하다 보면 생각지도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고 제품/서비스를 만들 때는 예상하지 못했던 사용자 입장의 많은 경우의 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능성을 모두 포함하여서 '페이지의 입출력값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현재 개발 단계에서 남은 이슈는 무엇인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지' 등등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합니다.

 

그럼 QA 테스트, 어떻게 하는데요?

저는 사이드 프로젝트 단계에서는 2가지 QA 테스트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1. 유저 시나리오 테스트 :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우리 팀이 설계했던 기능을 모두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2. 기능 테스트 : 페이지의 모든 입출력값이 원활하게 나오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해당 두 가지 테스트를 따로 하는 이유는 기능과 입출력값을 한 번에 테스트하려니 양이 너무 방대해지기도 하고,

하나의 목적에 집중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체크하기에도 편하더라고요!

 

오늘 게시물에서는 "유저 시나리오 테스트" QA 문서 작성법 실제 엑셀 양식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유저 시나리오 테스트 작성 방법

1. 테스트의 기본 정보를 생성 -> 입력해 주세요.

(아래 엑셀 양식에는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어요!)

해당 정보를 적는 이유는 다른 사람이 이 문서를 보게 되었을 때 언제, 어떤 환경에서 했는지 바로 알게끔 하기 위함입니다!

 

2. 테스트 결괏값 세팅하기

(아래 엑셀 양식에는 Pass/Fail/No Run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테스트의 결괏값을 미리 안내해 주는 칸입니다.

저는 완벽하게 기능이 작동하는 경우 -> Pass(통과)

작동은 하지만 원하는 결괏값이 나오지 않는 경우 -> Fail(실패)

아예 작동하지 않는 경우 -> No Run이라고 기재했습니다.

 

실무 QA에서는 아예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 같지만, 사이드 프로젝트 특히 대학생 프로젝트에서는

모두 프로 기획자/디자이너/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통신에 실패하여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No Run 칸도 넣었습니다!

 

3. 본격적인 테스트 메뉴얼 작성

제가 사용하는 유저 시나리오 테스트 문서의 핵심은 "사용자의 행동을 중심으로 테스트를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제품을 만든 사람의 입장이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서비스 진입부터 아웃까지 테스트해 보는 것이죠!

이를 위해서 우선 "사용자" 구분이 필요합니다.

여기는 단순히 '우리 서비스에 들어온 사용자'라고 기재하시면 안 됩니다. 

우리 서비스가 주는 핵심 가치를 지정하여,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온 사용자임을 표기해주어야 합니다.

 

제가 운영 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공작소에서는 '공모전 팀원을 찾고 싶은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에 들어와야 하는 사용자겠죠!

 

사용자를 기재했으면, 이 사용자가 하는 행동과 프로세스를 그대로 입력해 주면 됩니다. 

처음에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이것까지 적어야 한다고?' 싶은 것들도 다 기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활한 이해를 위해 저희 팀 QA에서 실제로 진행한 실제 엑셀 양식을 공유드릴게요!

 

이제 QA 전에 작성해야 하는 문서는 끝입니다!

 

4. QA 진행 중 수행 결과, 이슈, 기타 입력

초기에 세팅한 결괏값에 맞게 수행 결과를 적어주고 이슈가 발생했을 경우 우측에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백엔드, 프론트엔드 오류를 각각 적고 전달하니 QA 후에 업무 분배가 편리하더라구요!

(QA 진행 인원도 각 파트별로 최소 1명은 데리고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제작한 유저 시나리오 테스트에 사용했던 엑셀 양식입니다!

다운로드 받으시고 여러분의 서비스 QA에 이용해 보세요🙌🏻

사이드 프로젝트 QA 문서_유저 시나리오 테스트.xlsx
0.01MB

 

 

다음 편에서는 '기능 테스트' QA 방법과 문서 공유로 찾아오겠습니다 :)

더 많은 이야기는 인스타그램 @jieun.for.pm에서 만나요!